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6

OPC-UA란? OPC-UA는 Open Platform Communications Unified Architecture의 약자로,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표준으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표준입니다. 아래 영상과 글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세요. https://youtu.be/-tDGzwsBokY?si=wxQO9z4ZXwsgpe5n https://blog.naver.com/suresofttech/221394318179 질문으로 알아보는 스마트팩토리 - 'OPC UA' (상) 편 본 게시글에서 다룰 내용은 OPC UA입니다. 본론으로 가기 전에, 도움이 될만한 기초 지식을 짚고 넘어...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uresofttech/221394471984 질문으로 알아보는 스마트팩토리.. 2023. 8. 23.
설비보전기능사 CBT 예상 3편 - 기기의 명칭 문제1. 다음 기기의 명칭은 무엇인가? 정답: 아이볼트(eye bolt) 문제2. 다음 기기의 명칭은 무엇인가? 정답: 스테이 볼트(stay bolt) 문제3. 다음 기기의 명칭은 무엇인가? 정답: 육각구멍붙이 볼트(육각렌치볼트) 문제4. 다음 기기의 명칭은 무엇인가?(플렌지 커플링 조립시 사용하는 볼트) 정답: 리머볼트(reamer bolt) 문제5. 다음 기기의 명칭은 무엇인가? 정답: 스터드볼트(stud bolt) 문제6. 밀링선반에서 나사모양의 스크류가 있다. 명칭은 무엇인가? 정답: 리드스크류(lead screw) 문제7. 다음 기기의 명칭은 무엇인가?(키의 종류) 정답: 묻힘 키(성크 키) 2023. 8. 23.
PLC 제어시스템 구축가이드(3) 4. 시퀀스 제어의 네트워크화 PLC를 이용한 시퀀스 제어로 대규모 시스템을 컨트롤할 때에는 PLC의 분산화와 네트워크화가 열쇠가 됩니다. 앞에서도 복수의 PLC를 배치했을 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PLC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예를 소개했습니다. 여기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의 종류와 그 응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PLC에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는 시리얼 통신, 이더넷통신, PLC간 데이터링 등이 있습니다. 복수의 PLC 사이에서 온오프 신호를 주고받거나 대용량의 데이터를 PLC 사이에서 주고 받으려면 PLC간 데이터링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LC간 데이터링은 복수의 PLC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고속으로 사이클릭에서 PLC 사이의 통신을 행하고, 공유하는 데이터를 .. 2023. 8. 22.
PLC 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2) 3. 분산화된 시퀀스 제어 기계 시스템이 커지면 I/O 개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기계의 배치도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배선에 필요한 수고나 데이터의 공유 등을 고려해 제어시스템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림 4와 같이 시스템 ①에서 시스템 ④까지의 복수의 시스템이 모여 하나의 기계장치를 구성하고, 각각의 시스템에 대해 입출력이 100개가 넘는 큰 장치는 어떻게 입출력을 관리하면 좋을까요? (1) 모든 I/O를 한 대의 PLC I/O로 접속하는 방법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그림 5(a)와 같이 집중 배선을 하는 방법입니다. 모든 입출력이 1개의 PLC에 모여 배선되므로 모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단, 하나의 제어반 내에 모든 입출력 신호가 들어가므로 제어반도 .. 2023. 8. 22.
PLC 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1) PLC를 사용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좋을까요? 입출력 번호와 PLC의 내부 메모리 어드레스, 데이터 메모리 할당을 계획적으로 만드는 것은 읽기 쉬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읽기 쉬운 프로그램은 디버그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LC를 사용한 시스템화의 기초와 여러 대의 PLC를 사용한 경우의 네트워크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시퀀스 제어를 위한 I/O 할당 PLC를 사용한 시퀀스 제어를 행할 때에는 우선 기계의 입출력이나 조작 패널을 어느 입출력 번호에 접속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그 접속 회로도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 번호의 할당을 PLC의 I/O 할당(입출력 할당)이라고 합니다. 프로그래머는 이 I.. 2023. 8. 22.
용량형 센서란? 용량형 근접 센서는 전계중에 존재하는 물체 내의 전하 이동, 분리(분극: 외부 자계에 의하여 물체 내부의 전하가 분리되는 것)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원리로 동작하는 센서입니다. 플라스틱, 유리, 도자기, 목재와 같은 절연물(유전체)과 물, 기름, 약물과 같은 액체도 검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한 액체의 레벨 검출도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범용의 레벨 스위치에 비해 일반적으로 검출감도가 높고,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에 대해서도 반응을 합니다. 검출원리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면 대지는 -전하로, 센서 전극은 +전하로 대전되어, 이들 사이에 약한 전계가 형성됩니다. 이때 전극에 충전되는 전하를 Q,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을 V, 정전용량을 C라 할 때 Q = CV의 관계로 표현됩.. 2023. 8. 22.
설비보전기능사 CBT 예상 2편 - 공구의 명칭 1.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 정답: 조합 스패너(combination spanner) 용도 및 특징: 한쪽은 편구 스패너, 또 다른 한 쪽은 오프셋 렌치로 되어있는 스패너이다. 2.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 정답: 몽키 스패너(monkey spanner) 용도 및 특징: 조절렌치라고하며 입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공구이다. 전체의 길이로 표시(100mm,150mm,200mm 또는 8”,10”,12”) 3.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 정답: 양구 스패너(open end spanner) 용도 및 특징: 나사분해, 결합용으로 사용 규격 : 미터식 5.5 – 60mm , 인치식은 1/8 – 3” 4.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 정답: 더블 오프셋 렌치 (double o.. 2023. 8. 22.
생산자동화기능사 공개문제 2023년 5월 ※ 다음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1) 시작 전 시험감독위원이 지정한 위치에 본인 비번호로 폴더를 생성 후 비번호를 파일명으로 작업내용을 저장하고 시험 종료 후 PC에서 작업내용을 삭제합니다. 2) 정전 또는 기계고장을 대비하여 수시로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단, 이러한 문제 발생 시 “작업정지시간 + 5분”의 추가시간을 부여합니다.) 3) 작업 전 검정시설의 동작 유무를 확인하고 사용하며, 장비시설의 호환이 되지 않아 조치를 취한 경우에는 시험시간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4) 검정 중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검정진행 중에는 자리를 이석할 수 없습니다. 5) 안전수칙에 유의하여 작업합니다. 6) 부가조건 1, 2, 3에 대한 채점은 연속동작 상에서 채점합니다. 7) .. 2023. 8. 21.
기계정비산업기사 공개문제 2023년 산업인력공단에 게시된 2023년도 공개문제입니다. ※ 시험시간 : 6시간 - 1과제(전기장치 측정작업) : 30분 - 2과제(설비진단 측정작업) : 1시간 30분 - 3과제(공기압회로 구성작업): 1시간 - 4과제(유압회로 구성작업) : 1시간 - 5과제(기계요소 정비작업) : 2시간 - 전기장치 측정작업: 브레드보드(빵판) 회로구성 & 전압측정 - 설비진단 측정작업: 소음측정. 진동 측정 - 공기압회로 구성작업: 전기공압, 실린더 2개 - 유압회로 구성작업; 전기유압, 실린더 1개 - 기계요소 정비작업: 감속기 분해조립 2023. 8. 21.
설비보전기능사 2023년 공개문제 산업인력공단에 공개된 2023년 시행 공개과제입니다. - 공기압 회로 구성작업 - 유압회로 구성작업 - 용접 및 조립작업 2023. 8. 21.
생산자동화산업기사 공개문제 2023.06.29 산업인력공단에 게시된 생산자동화산업기사 공개문제입니다. 생산자동화 산업기사는 크게 CAD 파트와 PLC 프로그램 파트로 나눠져 있습니다. 비중은 4: 6정도 됩니다. CAD나 PLC의 종류는 시험장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만 거의 대부분 시험장이 한국폴리텍대학 또는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이기 때문에 해당 캠퍼스의 실습 소프트웨어와 장비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3D CAD는 인벤터, PLC는 미쓰비시가 대다수입니다. 생산자동화 산업기사 PLC과제 풀이는 아래 영상을 참고해 보세요.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znxAZVxcYDKRRvsHgc3Q-TOZmdUJ1vHR&si=17jVu92gU45w7xtU 생자산업기사 2023개정 공개문제 생산자동화 산업기사 PLC .. 2023. 8. 21.
설비보전기능사 CBT 예상 1편 - 공구의 명칭 1.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가? 답: 스냅링 플라이어(sanp ring plier) 해설: 스냅링, 리테이닝링의 부착이나 분해 조립용으로 사용하는 공구 2.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가? 답: 파이프 밴더(pipe bender) 해설: 파이프를 구부리는 공구이다. 3.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가? 답: 파이프 커터(pipe cutter) 해설: 파이프를 절단하는 공구이다. 4.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가? 답: 파이프 렌치(pipe wrench) 해설: 파이프를 쥐고 회전시켜 조립, 분해하는데 사용하는 렌치이다. 5. 다음 정비용 공구의 명칭은 무엇인가? 답: 후크 스페너(hook spanner) 해설: 베어링을 체결하고 로크너트를 넣은 후 후크스페너로 체결 함 6. .. 2023. 8. 19.
SIEMENS S7-1500 PLC - 2. 시퀀스 프로그램(타이머 이용) 지멘스 PLC를 프로그램하기 위해서는 TIA-Portal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엔지니어링 툴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PLC 로직 프로그램, HMI 작화, 모션 프로그램 등을 모두 작업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은 PLC 래더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접점과 코일, 타이머 사용법, 시퀀스를 작성하는 스테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L0LcimOatdg?si=Q_doWGBhDRgRrshd 2023. 8. 19.
SIEMENS S7-1500 PLC - 1. 하드웨어 설정 지멘스 S7-1500 PLC를 이용하여 자동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첫번째 과정입니다. CPU, 입출력 모듈 등의 PLC 하드웨어를 먼저 구성하고 설정해야 합니다.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Detect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식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세요. https://youtu.be/Me_n_wxxWRU?si=pf1LGuU49MYIEwDs 2023. 8. 19.
유도형 센서란? 유도형 근접 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는 금속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써 자동화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근접 센서 중의 하나입니다. 근접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이유는 검출 거리가 5~20mm 정도 이내로 아주 짧은 편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검출원리를 따서 고주파발진형 센서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만 현장에서는 그냥 유도형 센서라고 하죠. 주요 구성요소에는 발진회로, 검파 회로, 트리거 회로, 출력 회로가 있으며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1 발진 회로 2 변조 회로 3 트리거 회로 4 동작 상태 표시 회로 5 출력 회로 6 외부 전원 공급 7 정전압 공급 회로 8 검출면 9 센서 출력 그림. 유도형 근접 센서의 구조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면 LC 발진 회로에 의한 고.. 2023. 8. 18.
에어 서비스 유닛(FRL) 컴프레서에서 만들어진 압축공기는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장비까지 금속파이프 또는 우레탄 호스를 통해 전달되고 장비의 말단에서 압축공기를 연결합니다. 전기를 사용할때 두꺼비집에서 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것 처럼 공압시스템도 이런 역활을 하는 기기가 있습니다. 바로 에어 서비스유닛이라고 하는 기기입니다. 에어 서비스유닛은 줄여서 FRL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필터 Filter, 압력조절기 Regulator, 윤활기 Lubricator를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필터 구조 압력조절기 구조 윤활기 구조 § 압축공기 윤활기의 목적은 공압 기기에 충분한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이다. § 윤활제는 움직이는 부분의 마모를 적게 하고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장치의 부식을 방지한다. § 윤활기의 원리는 아래 그림과 같이 Ventur.. 2023. 8. 11.
리드 스위치란? 리드스위치는 갈대를 뜻하는 영어 단어 Reed에서 온 것인데, 내부에 있는 유리관의 모양이 갈대모양을 닮아서 이름이 붙여진 센서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드 스위치는, 1936년 미국 BELL 연구소에서 개발되어 1940년대에는 항공기나 병기에, 1956년부터는 전화교환기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유리에 봉입되어 접촉 신뢰성이 높은 등의 장점으로, 현재 전자 제어장치, 기계 제어장치 등 자동 기기의 스위칭 소자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리드스위치는 공유압 실린더의 전후진 감지용 센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실린더에는 리드스위치가 붙어 있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왜냐하면 실린더의 전진상태, 후진상태를 알아야만 적절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어.. 2023. 8. 7.
압축공기의 생성 공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기중에 있는 공기를 압축시켜서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탱크에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컴프레서라고 하는 기기입니다. 공기압 발생장치 정의/분류 1.정의 대기압 상태의 공기를 흡입 • 압축하여 1(kg/cm²) 이상의 토출 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2. 압력에 따른 분류 * 압축기 : 압력 1 (kg/cm²) 이상 * 송풍기 : 압력 0.1 ~ 10 (kg/cm²) 범위 * 팬 : 압력 0.1 (kg/cm²) 이하 압축기(Compressor) 1. 압축기의 분류 * 토출 압력에 따른 분류 - 저압 : 7 ~ 8 (kg/cm²) - 중압 : 10 ~ 15 (kg/cm²) - 고압 : 15 (kg/cm²) 이상 * 출력에 따른 분류 - 소형 : 0.2 ~ 1.. 2023.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