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화센서5

광 화이버 센서란? 광 화이버식 광전 스위치 또는 광 화이버 스위치 등으로 불리는 광 화이버 센서는 광전 스위치와 광 화이버(photo fiber)를 조합시킨 것으로 사용목적은 광센서와 같습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가늘고 유연한 광 화이버를 이용하여 복잡하고 미세한 부분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제약을 받지 않고 검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나쁜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용 센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센서입니다. 광 화이버 센서는 아래 그림에 구성 예를 나타낸 바와 같이 투광소자, 수광소자 및 신호처리 회로를 내장하고 앰프유닛과 검출헤드 부분까지 유도되는 광 하이버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검출에 따른 종류와 특징 광 화이버 센서에는 검출방식에 따라 크게 투과형과 직접 반사.. 2023. 8. 28.
용량형 센서란? 용량형 근접 센서는 전계중에 존재하는 물체 내의 전하 이동, 분리(분극: 외부 자계에 의하여 물체 내부의 전하가 분리되는 것)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원리로 동작하는 센서입니다. 플라스틱, 유리, 도자기, 목재와 같은 절연물(유전체)과 물, 기름, 약물과 같은 액체도 검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한 액체의 레벨 검출도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범용의 레벨 스위치에 비해 일반적으로 검출감도가 높고,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에 대해서도 반응을 합니다. 검출원리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면 대지는 -전하로, 센서 전극은 +전하로 대전되어, 이들 사이에 약한 전계가 형성됩니다. 이때 전극에 충전되는 전하를 Q,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을 V, 정전용량을 C라 할 때 Q = CV의 관계로 표현됩.. 2023. 8. 22.
유도형 센서란? 유도형 근접 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는 금속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써 자동화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근접 센서 중의 하나입니다. 근접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이유는 검출 거리가 5~20mm 정도 이내로 아주 짧은 편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검출원리를 따서 고주파발진형 센서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만 현장에서는 그냥 유도형 센서라고 하죠. 주요 구성요소에는 발진회로, 검파 회로, 트리거 회로, 출력 회로가 있으며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1 발진 회로 2 변조 회로 3 트리거 회로 4 동작 상태 표시 회로 5 출력 회로 6 외부 전원 공급 7 정전압 공급 회로 8 검출면 9 센서 출력 그림. 유도형 근접 센서의 구조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면 LC 발진 회로에 의한 고.. 2023. 8. 18.
리드 스위치란? 리드스위치는 갈대를 뜻하는 영어 단어 Reed에서 온 것인데, 내부에 있는 유리관의 모양이 갈대모양을 닮아서 이름이 붙여진 센서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드 스위치는, 1936년 미국 BELL 연구소에서 개발되어 1940년대에는 항공기나 병기에, 1956년부터는 전화교환기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유리에 봉입되어 접촉 신뢰성이 높은 등의 장점으로, 현재 전자 제어장치, 기계 제어장치 등 자동 기기의 스위칭 소자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리드스위치는 공유압 실린더의 전후진 감지용 센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실린더에는 리드스위치가 붙어 있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왜냐하면 실린더의 전진상태, 후진상태를 알아야만 적절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어.. 2023. 8. 7.
광센서란? 광 센서란 가시 광선, 적외선 등과 같은 “빛”을 투광부에서 발사하고 검출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나 차광되는 광량의 변화를 수광부에서 검출하여 출력 신호를 얻는 것입니다. 명칭에서도 광 센서, 광전 스위치, 광전 센서, 빔 스위치, 포토 센서, 포토 스위치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디지털 광 센서(광전 스위치)는 빛을 내는 투광부와 그 빛이 대상물에 의해서 반사, 투과, 흡수, 차광 등의 변화를 받는 것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ON/OFF 신호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발광소자(GaAs, CaAlAs, GaP 등의 PN 접합소자)를 사용하여 빛을 내는 발광부에 의해 검출 대상을 향해 빛을 조사하고, 검출 대상에 의해 변화된 빛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2023.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