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LC6

PLC 시장의 진입장벽이 높은 주요 이유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장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 분야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경제적, 그리고 산업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 PLC 시장의 진입장벽이 높은 주요 이유1. 높은 기술력과 안정성 요구PLC는 산업 현장의 자동화 제어를 담당하는 핵심 장비로, 공장, 발전소, 철강, 반도체,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으로 동작합니다.정전, 오작동, 신호 오류 등이 생산 라인의 중단, 안전 사고, 수십억 원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이 요구됩니다.따라서 단순한 제어기 수준을 넘어서, 정교한 펌웨어, 실시간 운영체제(RTOS), 견고한 하드웨어 설계 기술이 필요합니다... 2025. 5. 7.
미쓰비시 GX Works3 다운로드 미쓰비시의 iQ-R 시리즈 PLC를 프로그램하기 위해서는 GX Works3를 사용해야 합니다.Works2와는 프로그램 방식 및 환경이 좀 바뀐부분이 있기 때문에 적응이 필요할 것 같네요. [설치순서]설치파일을 먼저 설치하고 업데이트 파일을 설치해야 합니다.최신업데이트 파일은 미쓰비시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한번에 업로드가 안되는 관계로 여러 개의 압축파일을 나눠서 올립니다.한폴더에 다운로드 받아서 압축을 풀면 됩니다.  [설치파일]압축링크(1)https://techflex.tistory.com/entry/GX-Wokrs3-%EC%95%95%EC%B6%95%EB%A7%81%ED%81%AC1 압축링크(2)https://techflex.tistory.com/entry/GX-Works3-%EC.. 2025. 3. 24.
미쓰비시 GX-Works3 기초 3 - 디바이스(프로그램) 디바이스는 PLC CPU 내에 있는 프로그램용 이미지 소자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접점ㆍ코일 등)라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하면 입력은 X로, 출력은 Y로, 데이터메모리는 D라는 알파벳을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디바이스의 사전적 정의는 장치를 의미하지만 미쓰비시에서는 독특하게도 이 기호를 디바이스라고 표시합니다. 그래서인지 모르겠지만 LS에서도 동일한 의미의 단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다양한 디바이스의 종류들입니다. 1. 비트 디바이스 2. 워드 디바이스 ㆍ주로 데이터를 취급. ㆍ16비트로 1워드를 구성. ㆍ~.* 로 비트 지정하는 것도 가능 (* 는 0~F(16진)로 지정) 3. 워드 디바이스((32bit) 4. 워드 디바이스 ㆍ주로 데이터를 취급. ㆍ16비트로 1워드를 구성. ㆍ~.*.. 2023. 9. 14.
PLC 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2) 3. 분산화된 시퀀스 제어 기계 시스템이 커지면 I/O 개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기계의 배치도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배선에 필요한 수고나 데이터의 공유 등을 고려해 제어시스템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림 4와 같이 시스템 ①에서 시스템 ④까지의 복수의 시스템이 모여 하나의 기계장치를 구성하고, 각각의 시스템에 대해 입출력이 100개가 넘는 큰 장치는 어떻게 입출력을 관리하면 좋을까요? (1) 모든 I/O를 한 대의 PLC I/O로 접속하는 방법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그림 5(a)와 같이 집중 배선을 하는 방법입니다. 모든 입출력이 1개의 PLC에 모여 배선되므로 모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단, 하나의 제어반 내에 모든 입출력 신호가 들어가므로 제어반도 .. 2023. 8. 22.
PLC 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1) PLC를 사용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좋을까요? 입출력 번호와 PLC의 내부 메모리 어드레스, 데이터 메모리 할당을 계획적으로 만드는 것은 읽기 쉬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읽기 쉬운 프로그램은 디버그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LC를 사용한 시스템화의 기초와 여러 대의 PLC를 사용한 경우의 네트워크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시퀀스 제어를 위한 I/O 할당 PLC를 사용한 시퀀스 제어를 행할 때에는 우선 기계의 입출력이나 조작 패널을 어느 입출력 번호에 접속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그 접속 회로도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 번호의 할당을 PLC의 I/O 할당(입출력 할당)이라고 합니다. 프로그래머는 이 I.. 2023. 8. 22.
자동화기술찐기초 3. PLC PLC는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로써 프로그램이 가능한 논리 제어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PLC는 대표적인 산업용 제어기입니다. 모든 자동화된 시스템은 PLC와 같은 제어기가 핵심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자동제어를 위한 PLC 기초에 대해 설명합니다. PLC 1강. https://youtu.be/Y7wpaFOAX8Q PLC 2강. https://youtu.be/iV-wyf7qNxw 2022. 9.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