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통 스테핑모터는 스테핑모터 드라이버와 함께 사용됩니다.
오토닉스 MD2U는 2상 스테핑모터용 드라이버입니다.
결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어방법
스테핑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에 펄스열을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1. PLC 출력(TR)을 이용하여 펄스신호를 직접 만들어서 날리는 경우
- 신호선 배선: PLC TR의 출력은 24V 레벨인데 모터드라이버의 펄스 입력은 5V입니다. 따라서 저항을 부착해야 합니다.
V = IR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저항 R값을 구해보면, R = 24V/10mA 이므로 1~2.4k옴 정도의 저항입니다.
- 고속타이머를 이용하여 디지털출력을 빠르게 ON/OFF하여 펄스열을 생성합니다. PLC에서는 래더로 프로그램을 해주어야겠죠.
2. 위치결정용(모션)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 각 PLC의 위치결정모듈을 추가하여 조그운전, 원점복귀운전, 포지션데이터 지정 운전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LS사의 컴팩트형 PLC인 XGB 시리즈의 내장 위치결정모듈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세요.
https://youtu.be/_JcUK6cxV7o?si=QdEibGkzjGV13aJM
이렇게 위의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한데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2번 방법을 사용합니다.
1번 방법은 PLC가 출력할 수 있는 ON/OFF의 주파수가 높지 않아서 스테핑 모터를 부드럽게 돌리기 어렵고 위치제어용 프로그램을 하나 하나 모두 프로그램으로 컨트롤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반응형
'자동제어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PNP <-> NPN 변환 방법 및 소자(시그널컨버터) (0) | 2023.11.10 |
---|---|
인터페이스 커버 (0) | 2023.11.10 |
자동화기술찐기초 11. HMI & SCADA (0) | 2022.09.09 |
자동화기술찐기초 10. 트러블슈팅 Trouble-shooting (0) | 2022.09.09 |
자동화기술찐기초 9. 온도제어 Temperature control (0) | 202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