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제어기술15

전기캐드 소프트웨어 CADe_SIMU 간단히 전기회로를 그리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소개한다.버전이 업그레이드 되진 않았지만 왠만한 회로는 그릴 수 있다.시뮬레이션도 가능한데.. 어떤 문제가 있을 때 에러상태가 표시가 안되니 시뮬레이션까지 바라기는 좀 어려울 것 같다.  프로그램 다운로드http://naver.me/x4F3jQfP CADe_SIMU.zipDaniel님이 공유한 파일을 확인하세요.mybox.naver.com 2025. 1. 15.
PNP <-> NPN 변환 방법 및 소자(시그널컨버터) 자동제어분야에서는 DC24V 전기신호의 배선 방법에 따라 PNP와 NPN 방식을 사용한다. 이 부분은 이미 디지털 입출력 부분에서 설명하였다. 가끔 NPN 배선을 해야하는데 연결하고자 하는 센서나 타 기기가 PNP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이럴 때 릴레이를 하나 더 사용해서 배선을 하면 되지만... 생각지도 않았던 릴레이를 또 하나 설치하기가 귀찮거나 곤란할 때가 있다. 그런 경우에는 배선 중간에 붙일 수 있는 기성품을 적용해 보자. https://www.sanil.co.kr/product/item.php?it_id=1419580390&ca_id=70d0&page=1&sort1=&sort2= 산일전기 -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www.sanil.co.kr --------------------.. 2023. 11. 10.
인터페이스 커버 자동화장비를 만들때 장비와 외부 노트북 및 통신선들을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PLC가 설치된 전장패널은 장비 내부에 있고 장비 전원을 ON 시킨 상태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커버를 열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인터페이스 커버라는 제품을 사용하면 심플하게 이 부분을 해결할 수 있다. 장비 외함 설계할 때 고려해보자. http://www.kem.co/product/sub_product.php?ca_id=1642002436 (주)KEM 오일스키머 전문 제조업체. 전문 기술력으로 전 세계 57개국에 수출하는 글로벌 기업 www.kem.co 2023. 11. 10.
스테핑모터 드라이버 (오토닉스 MD2U) 보통 스테핑모터는 스테핑모터 드라이버와 함께 사용됩니다. 오토닉스 MD2U는 2상 스테핑모터용 드라이버입니다. 결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어방법 스테핑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에 펄스열을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1. PLC 출력(TR)을 이용하여 펄스신호를 직접 만들어서 날리는 경우 - 신호선 배선: PLC TR의 출력은 24V 레벨인데 모터드라이버의 펄스 입력은 5V입니다. 따라서 저항을 부착해야 합니다. V = IR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저항 R값을 구해보면, R = 24V/10mA 이므로 1~2.4k옴 정도의 저항입니다. - 고속타이머를 이용하여 디지털출력을 빠르게 ON/OFF하여 펄스열을 생성합니다. PLC에서는 래더로 프로그램을 해주어야겠죠. 2. 위치결정용(모션)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 2023. 9. 14.
자동화기술찐기초 11. HMI & SCADA HMI와 SCADA에 대한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내용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용어 - HMI: Human machine interface -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hmi 라고 하면 휴먼 머신인터페이스라고 하는 영어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hmi 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직역을 해보면 사람과 기계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이런 것들을 의미하는 단어인데 우리가 이 hmi라고 하는 용어를 사실 자동화 분야에서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동화 분야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그런 단어 중에 하나입니다. 우리가 IT 분야라든가 일반적인 모바일 기기를 다루는 그런 환경에서는 hmi 라고 하는 용어를 쓰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ui나 ux 와 같은 ..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10. 트러블슈팅 Trouble-shooting 자동화장비(자동제어시스템)의 설비보전을 위한 트러블슈팅(문제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자동화장비 설비보전을 위한 트러블슈팅에 대해 설명합니다. - 설비보전의 정의와 목적 - 기계 고장의 원인 - 고장 알람/경보의 방법 - PLC 알람/경보 프로그램 - PLC 상태 모니터링 - 고장점검 절차 및 방식 - 트러블슈팅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https://youtu.be/GRAjRW135gE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9. 온도제어 Temperature control 온도제어는 우리 일상 중에서도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자동화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온도제어의 원리와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합니다. https://youtu.be/mlOvZ53d4FI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8. 머신 비전 Machine vision 머신 비전은 카메라와 컴퓨터 이미지/영상 기술을 활용한 검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자동제어시스템에서 머신 비전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https://youtu.be/PtgCxJ-qFVA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7. 자동화장비 구조물과 기구 자동제어시스템은 메커니즘이라고 하는 뼈대 위에 세워집니다. 메커니즘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구조물과 기구 요소에 대해 살펴봅시다. 아래 영상을 참고하세요. https://youtu.be/jqnjba2I6Ms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6. PC기반제어 우리는 보통 PC를 가정이나 학교, 회사에서 사무적인 업무를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PC가 기계를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까요? 산업현장에서 PC는 PLC와 함께 자동제어를 위한 핵심적인 제어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C가 장비제어를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영상을 참고하세요. https://youtu.be/-oRM42KaYBM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5. 로봇 Robo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로봇이 우리 주변에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식당에서 음식을 서빙하는 서비스 로봇 뿐만 아니라 군사 로봇에 이르기까지 정말 다양한 로봇들이 등장했습니다. 로봇은 산업현장에서도 오랫동안 다양한 모습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 영상을 통해 산업용 로봇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https://youtu.be/uhisREEDTHs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4. 모터 Motor 모터는 우리 생활주변에서 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회전운동용 액츄에이터입니다. 자동화 현장에서 사용되는 모터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또 다양한 산업용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다음 영상은 자동화 기술요소 중 모터에 대한 설명입니다. https://youtu.be/86tayrNRdlw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3. PLC PLC는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로써 프로그램이 가능한 논리 제어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PLC는 대표적인 산업용 제어기입니다. 모든 자동화된 시스템은 PLC와 같은 제어기가 핵심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자동제어를 위한 PLC 기초에 대해 설명합니다. PLC 1강. https://youtu.be/Y7wpaFOAX8Q PLC 2강. https://youtu.be/iV-wyf7qNxw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2. 센서 Sensor 세상에는 수많은 종류의 센서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특히 자동제어 분야에서 사용하는 특수한 목적의 센서들이 존재합니다. 이런 자동화용 센서들은 일반적인 센서 소자와는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화의 5대 요소중 하나인 센서는 기본적으로 기계나 시스템의 상태를 판별하고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음 영상은 자동제어를 위한 센서의 기초에 대해 설명합니다. https://youtu.be/4uHDutIj4pI 2022. 9. 9.
자동화기술찐기초 1. 공유압 Pneumatics & Hydraulics 공압과 유압은 기계를 자동으로 움직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또한 공압과 유압은 유사점이 많기 때문에 공유압 또는 유공압이라는 통합된 명칭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공압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일을 하는 것이고, 유압은 유압유(오일)를 이용하여 일을 하는 것입니다. 이 분야에서는 일을 하기 위한 기구장치로써 실린더라고 하는 것을 사용하는데요, 실린더는 직선으로 움직이는 대표적인 액츄에이터입니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 동영상 강좌를 참고하세요. https://youtu.be/OnoDqf5eM3w 2022. 9.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