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C

PLC 디지털 입력회로

by 테크플렉스 2023. 9. 4.
반응형

PLC의 디지털 입력요소는 푸시버튼 스위치, 셀렉터 스위치, 리밋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류와 디지털 출력형식의 센서(광, 유도형, 용량형 근접 센서 등)류가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PLC가 외부로 부터 받아들이는 신호가 되는 것이죠. 

 

거의 모든 PLC의 디지털입력모듈의 회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LS electric의 XBC PLC의 입력부 사양에서 발췌했습니다.) 

 

PLC 디지털 입력 회로

중간에 있는 포토커플러라고 하는 소자가 PLC 외부와 내부를 절연시켜주는 소자입니다. 절연시킨다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전기 회로를 분리시키는 것이죠.

포토커플러는 포토다이오드에 전기가 흘러서 빛이 발생하면 그 빛을 반대쪽에 있는 포토 트랜지스터가 베이스 신호로써 인식하는 원리로 동작합니다. 그 결과 이미터와 콜렉터 간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PLC 내부의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입력 신호를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포토커플러 내부의 포토다이오드가 양방향으로 걸려있죠? 그리고 입력부의 아랫쪽에는 COM이라는 단자가 있습니다. 결국 입력회로의 방향을 +에서 - 로 할 것이냐, -에서 +로 할 것이냐의 차이입니다.

전류의 흐름이 반대가 되어도 동작할 수 있습니다. 

 

+ 신호를 인식하는 것을 PNP 결선이라고 하고, - 신호를 인식하는 것을 NPN 결선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보통 PLC의 디지털 입력모듈은 PNP와 NPN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배선하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죠.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NPN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디지털 출력회로를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C 아날로그 입출력  (0) 2023.09.07
PLC 디지털 출력회로  (0) 2023.09.04
PLC 제어시스템 구축가이드(3)  (0) 2023.08.22
PLC 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2)  (0) 2023.08.22
PLC 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1)  (0)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