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C

PLC 디지털 출력회로

by 테크플렉스 2023. 9. 4.
반응형

PLC의 디지털 출력요소는 램프(파일럿램프, 타월램프, 경보등), 릴레이, MC(마그넷컨택터),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ON/OFF 로 동작하는 기기들입니다. 물론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모터는 릴레이 또는 MC, 인버터를 통해서 구동하게 되구요. 

 

디지털 출력회로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하나는 TR(트랜지스터) 타입, 또 하나는 릴레이 타입입니다.

먼저 TR 출력 회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PLC 디지털 출력 회로

 

디지털 출력회로도 디지털 입력과 마찬가지로 내부에는 포토커플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토커플러의 출력이 MOSFET이라고 하는 일종의 트랜지스터를 살리고 그 출력이 최종 출력으로 연결됩니다. 

 

여기서 '최대부하전류'라는 것을 꼭 알고 있어야 하는데요, 출력용 TR을 통해서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는 매뉴얼에 보면 보통 0.5A / 1점, 2A / 1COM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한점당 0.5A 정도라면 작은 솔레노이드 밸브나 릴레이 정도 살릴 수 있는 수준입니다. 따라서 부하가 전류를 많이 먹는다면 직접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릴레이나 MC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들을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릴레이 출력 타입을 사용합니다. 

릴레이 출력타입의 회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PLC 디지털 출력회로(릴레이)

릴레이출력타입은 내부에 릴레이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더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DC 뿐만 아니라 AC 전원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최대부하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DC24V 2A (저항부하),  AC220V 2A

 

릴레이 타입의 단점은 동작속도입니다. 아무래도 릴레이는 TR에 비해서 동작속도가 느리고, 빈번한 ON/OFF 동작으로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해서 출력타입을 선정해야 합니다.

 

 

 

반응형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나소닉 EtherCAT Servo Driver 매뉴얼  (0) 2023.09.08
PLC 아날로그 입출력  (0) 2023.09.07
PLC 디지털 입력회로  (0) 2023.09.04
PLC 제어시스템 구축가이드(3)  (0) 2023.08.22
PLC 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2)  (0)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