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C/Mitsubishi PLC

미쓰비시 GX-Works3 기초 7 - MOV 명령어

by 테크플렉스 2023. 10. 19.
반응형

MOV 명령은 어떤값을 다른 곳에 써주는 명령입니다. 

C언어를 배울때 a = b 라고 하면 a와 b의 값이 같다는 것이 아니고 b의 값을 a에 쓴다라고 배우죠.

그것과 동일합니다. 명령어 설명에 MOV (S) (D) 이런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는데요,

S는 source data, D는 destination 이 됩니다. 그래서 S에 있는 값을 D에 써준다, 카피한다로 이해하면 됩니다. 

 

예) MOV K3 D0  :  십진수 3을 데이터 디바이스 D0에 쓴다 (미쓰비시에서는 이것을 전송한다라고 표현합니다. 그래서 MOV를 전송명령이라고 얘기합니다.)

 

 

ㆍ입력 조건이 "ON" 되면 타이머 T0의 현재값을 데이터 레지스터 D100에 전송합니다.
S …소스(전송 소스), D …데스티네이션(전송 대상)
ㆍT0의 현재값은 레지스터에 2진수(BIN 코드)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2진수 그대로 데이터 레지스터
D100에 전송합니다. 전송 시 코드 변환을 하지 않습니다.

 

ㆍ입력 조건이 "ON" 되면, 10진수 157을 데이터 레지스터 D102에 전송합니다. 데이터 레지스터 D102에는
2진수로 저장합니다. 10진수(K)는 자동으로 2진수로 변환되어 전송됩니다.

 

ㆍ입력 조건이 "ON" 되면, 16진수 4A9D를 데이터 레지스터 D103에 전송합니다.

 

 

MOV와 MOVP의 차이

 

MOVP의 P는 펄스(pulse)의 P

 

ㆍ변경하는 데이터를 상시 읽을 때는 MOV 명령을 사용합니다.
데이터 설정, 이상 시 데이터 읽기 등과 같이 순간적인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MOVP 명령을 사용합니다.

 

ㆍ다음의 래더는 모두 같은 기능을 합니다.

 

[프로그램 예]

X100을 ON 하면, 모니터 화면에서 D100과 D101의 내용이 모두 200이 되는지를 확인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