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유압5

공압장치의 구성요소 공압장치의 구성요소를 정리해 봅시다. 1. 동력원 압축기의 기계적 에너지 공급 동력원의 사용: 전동기, 내연기관 2. 공압발생부 압축공기를 생산 공압 발생부로 사용되는 요소 : 압축기, 냉각기, 공기탱크 3. 공기 청정부 깨끗한 공기를 만들어 주는 공기 청정화 장치 공기 청정부로 사용되는 요소 : 필터, 레귤레이터, 루브리케이터 4. 제어부 엑추에이터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 방향, 유량을 제어 제어부로 사용되는 요소: 압력제어, 방향제어, 유량 제어 밸브 5. 구동부 공기압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 (일의 수행) 구동부로 사용되는 요소: 실린더, 공압 모터, 공압 요동 엑츄에이터 2023. 8. 31.
보일의 법칙 & 샤를의 법칙 1. 보일의 법칙 보일의 법칙은 공기는 압축될 수 있고, 압축된 상태에선 팽창한다는 원리에 입각한 법칙입니다. 보일의 법칙 : 온도가 일정할 때 주어진 공기의 부피는 절대압력에 반비례 한다. 일정한 온도에서 체적 V1 = 1㎥ 압력 P1=100kPa(1bar)인 공기에 힘을 가했을 때를 생각해 봅시다. *아래 이미지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C%9D%BC%EC%9D%98_%EB%B2%95%EC%B9%99 2. 샤를의 법칙 샤를의 법칙은 일정한 압력하에서 273K 온도의 공기가 1K 만큼 열을 받으면 공기는 그 부피의 1/273만큼 팽창 한다는 원리를 적용한 법칙입니다. 샤를의 법칙 :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면 온도와 체적은 비례한다. *아래 이미지 참.. 2023. 8. 31.
에어 서비스 유닛(FRL) 컴프레서에서 만들어진 압축공기는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장비까지 금속파이프 또는 우레탄 호스를 통해 전달되고 장비의 말단에서 압축공기를 연결합니다. 전기를 사용할때 두꺼비집에서 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것 처럼 공압시스템도 이런 역활을 하는 기기가 있습니다. 바로 에어 서비스유닛이라고 하는 기기입니다. 에어 서비스유닛은 줄여서 FRL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필터 Filter, 압력조절기 Regulator, 윤활기 Lubricator를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필터 구조 압력조절기 구조 윤활기 구조 § 압축공기 윤활기의 목적은 공압 기기에 충분한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이다. § 윤활제는 움직이는 부분의 마모를 적게 하고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장치의 부식을 방지한다. § 윤활기의 원리는 아래 그림과 같이 Ventur.. 2023. 8. 11.
압축공기의 생성 공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기중에 있는 공기를 압축시켜서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탱크에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컴프레서라고 하는 기기입니다. 공기압 발생장치 정의/분류 1.정의 대기압 상태의 공기를 흡입 • 압축하여 1(kg/cm²) 이상의 토출 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2. 압력에 따른 분류 * 압축기 : 압력 1 (kg/cm²) 이상 * 송풍기 : 압력 0.1 ~ 10 (kg/cm²) 범위 * 팬 : 압력 0.1 (kg/cm²) 이하 압축기(Compressor) 1. 압축기의 분류 * 토출 압력에 따른 분류 - 저압 : 7 ~ 8 (kg/cm²) - 중압 : 10 ~ 15 (kg/cm²) - 고압 : 15 (kg/cm²) 이상 * 출력에 따른 분류 - 소형 : 0.2 ~ 1.. 2023. 8. 7.
공압이란? 1. 공압의 정의 - 대기압(1 bar) 보다 높은 압력의 압축 공기 - 압력 에너지를 운동(기계) 에너지로 변환 - 일반적으로 1.5 bar 이상의 압력의 공기를 공압 이라 칭함 2. 공압의 장점 -양(Amount) : 사용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은 무한 -가격(Cost) : 원료의 가격이 저렴 -이송(Transport) : 원거리 이송이 가능(1Km 내외-유압은 100m 내외) -저장성(Storage) : 저장의 용이 (형태에 상관없이 보관장소만 있으면 저장이 가능) -온도(Temperature) :온도에 따른 상관 관계가 거의 없음(유압은 온도에 따라 점도 변화) -안전성(Explosion proof) :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없음 3. 공압의 특징 -청결성(Cleanness) : 압축공기가 파이프나.. 2023.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