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에 전자산업이 발전하면서 자동화 분야에서도 함께 발전된 분야가 있는데요, 바로 HMI 분야입니다.
HMI는 Human Machine Interface의 약자로 기계와 사람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로가 되는 역할을 합니다.
현재의 자동화 시스템들은 그 형태가 조금씩 다를 뿐 HMI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없을 정도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제는 HMI를 공장의 생산현장에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이 연결된 모든 곳에서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발전해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생산시스템을 단순히 모니터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며 전사적 차원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모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A9yB6/btsDHtbhDCk/TXNEpgc7kDUVMACkEsMXm1/img.png)
위의 그림과 같이 과거 자동화 시스템에서 기계의 조작을 위해서 여러 가지 스위치를 사용했고, 각종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서 램프나 7세그먼트 표시기 같은 것을 이용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은 PLC의 입출력 접점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PLC에 많은 접점을 필요로 하고 결선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램프와 스위치로 구성된 오퍼레이팅 패널은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기계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알람을 처리할 수 있는 것도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HMI를 사용하게 되면 이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고 부가적인 기능들로 인해서 더욱 효율적인 제어와 관리가 가능해지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DGR3/btsDElSRe2x/soLqjNKAo5LZ6wEsqHDZC0/img.png)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란?
SCADA system은 주로 PC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