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압의 정의
- 대기압(1 bar) 보다 높은 압력의 압축 공기
- 압력 에너지를 운동(기계) 에너지로 변환
- 일반적으로 1.5 bar 이상의 압력의 공기를 공압 이라 칭함
3. 공압의 특징
-청결성(Cleanness) : 압축공기가 파이프나 부품의 틈으로 누출되어도 오염의 원인 (식품가공업, 목재, 섬유, 피혁 및 기타 산업분야에서 특히 중요)
-구조(Construction) : 작동요소가 간단한 기구이므로 가격이 저렴
-속도(Speed) : 압축공기는 빠른 작업 매체여서 매우 빠른 작업 속도(공압 실린더의 경우 1~2 m/sec, 유압은 0.2m/s)
-조절(Adjustable) : 압력과 유량의 간단한 조작으로 힘과 속도를 조정
-안정성 (Overload safe) : 과부하 상태에서의 성능의 제한 범위 이상에서도 작동되며 능력 이상에서도 파괴 소실 등의 위험이 적음
4. 공압의 단점
-준비 (Preparation) : 압축공기를 만드는 데는 먼지나 습기가 있어서는 안됨
-압축성(Compressible) : 압축성 때문에 균일한 피스톤 속도 및 위치 제어가 어려움
-역학적 사용 한계 : 압축공기는 보통 작업압력은 700kPa(7bar)가 한계여서 실린더가 낼 수 있는 힘의 한계가 일반적으로 30,000~50,000 N 정도
-배기 (Exhaust air) : 큰 배기의 소음. 이 문제는 현재 소음 흡수재료의 개발로 개선
-운전비용(Cost) : 압축공기는 힘을 전달하는 것으로는 비교적 비싼 편이나 에너지의 발생시 많은 비용이 요구
5. 압력 단위
1Pa은 1㎡의 면적에 1N의 힘이 작용할 때의 압력이다. ( P = N/㎡ )
1bar = 100,000 Pa = 100kPa = 0.1MPa
1kgf/c㎡ = 0.980665 bar = 0.981 bar
1bar = 1.01972 kgf/c㎡ = 1.02 kgf/c㎡
'공유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압장치의 구성요소 (0) | 2023.08.31 |
---|---|
보일의 법칙 & 샤를의 법칙 (0) | 2023.08.31 |
에어 서비스 유닛(FRL) (0) | 2023.08.11 |
압축공기의 생성 (0) | 2023.08.07 |